관리 메뉴

맑음 때때로 말랑말랑

마키아벨리 - 군주론 본문

Blogging/Booklog

마키아벨리 - 군주론

지노쥬 2013. 7. 22. 09:42
군주론 - 니콜로 마키아벨리 : "이것이 권력이다"

마키아벨리는 이탈리아의 사상가로, 한 때 정치계에 한 획을 그었으나 정권이 바뀌면서 은둔하며 마키아벨리즘을 확립하였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이전 2000년 동안 다른 여러 철학가들과 사상가들에 의해 논의되어온 도덕정치에 반기를 든 이론으로, 철저한 현실주의를 반영한다. 전반적으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들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이전 현인들의 선과 정의가 정치의 이상향으로 보는 것과는 달리, 마키아벨리는 힘과 지혜(교활함)를 기반으로 한 상황에 맞는 처세와 단호함이 권력유지의 필수조건이라고 보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힘이란 군사력을 의미하며, 국력은 군주가 군대의 최고사령관인 자국군대에 그 힘이 있다고 주장한다. 마키아벨리가 말하는 정치는 상황에 맞는 처세이다. 상황에 따라서 너그럽거나 자비로운 대신 때로는 잔인하고 무자비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아니, 주장이라기 보다는 현실이 그렇다고 이야기한다.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을 통틀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이상정치의 실현 등이 아닌 현실에 대한 날카롭고 정확한 관찰 및 분석이다. 철학자들이 꿈꾸고 바라는 이상적인 국가나 정치와는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권력을 유지하고 군주가 세워지는 과정은 냉혹한 현실에 속해있다는 주장이다. 마키아벨리는 인간은 변덕스럽고 이익을 탐하는 본성을 가지고 있다는 성악설을 토대로 이론을 펴나가고 있다. 이 부분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군주론을 비난했고, 또 군주론의 헛점이라면 헛점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마키아벨리에 따르면 과거에 그 어느누구도 현인들이 바랐던 도덕정치로 권력을 유지한 사람이 없으며, 그런 이상향의 국가가 성립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권력은 때로는 잔인하고 교활해야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하지만, 군주론이 비약이 심하고 극단적인 것이 사실이다.  일단 성악설을 근거로 논리를 성립해 나가는 데 있어서, 모든 사람이 그렇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모든 사람이 전부 변덕스럽고 자기 이익만을 탐하며 자신을 위해서라면 잔인하거나 무자비한 짓도 할 수 있을까?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군주론이 성선설을 베재하고 있기 때문에 완벽할 수는 없다.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황에 따른 지혜로운 처세가 필요하며, 힘을 키우고 민심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은 당연한 논리이며 다른 철학자들도 이야기하고 있는 바이다. 하지만, 군주는 가혹하거나 잔인해야 하며, 두려움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전적으로 동의할 수는 없다. 특히, 마키아벨리가 살던 시대의 절대권력으로 치부되던 왕에 의한 통치가 행해지던 시절과 국민들의 의견이 국가를 만들어가는 현대의 민주주의 시대는 많이 다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군주 한 사람과 국민들로 구성된 국가라는 단체를 별개로 본 관점에서 쓰여진 것 같다. 즉, 통치자와 통치를 받는 사람으로 구분하여 그 체제를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시대는 대통령은 국민의 대표이며, 국민의 의견을 대변하고, 또 국민 중의 한 사람일 뿐이다. 즉, 마키아벨리는 군주가 국민을 상대로 어떻게 행동하고 어떠한 생각을 가져야 하는 것을 말하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의 관심사는 군주의 통치가 아니라 실용성과 발전이다. 이 시대는 정복과 식민이 빈번한 시대가 아니니까, 통치나 권력에 대한 생각보다는 어떻게 하면 나라가 더 부강해질 수 있는가에 대해서 논하는 시대가 아닌가 싶다. 그런면에서, 마키아벨리가 군주와 국민을 분리해서 본 것과는 달리, 군주는 국민에 속해있으며, 군주와 국민이 하나가 되어가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Comments